요즘 닥치는 대로 읽고 쓰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십 년이 조금 안 되는 과거의 한 시점에, 나는 영화감독을 하고 싶다고 마음을 먹었었다. 발단은 영화 <레옹>이었다. 그 영화가 나에게 준 여운은 대단했기에, 나는 영화라는 것에 그렇게 흠뻑 빠져들었던 것이다. 그래서 평생을, 이 대단한 매체에 몸 담으며 살고 싶다고 생각했었고, 지금까지도 그것은 내 삶의 강력한 추동력 중 하나이다. 내가 열심히 무언가를 읽고 쓰고 있다면, 영화를 더 재밌게 보고, 나아가 좋은 영화를 단 한 편이라도 내 손으로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그 이유이다.
그런데 십 년 전 그 시점에 내 삶에 찾아온 하나가 더 있다. 바로 고우영 선생님의 작품들이다. 비록 영화가 나의 가장 친애하는 매체일지라도, 언제나 나의 보물 1호는 고우영 선생님의 작품들이었다. 요새는 그분의 작품이 거의 다 복간이 되어 손쉽게 접할 수 있다. 천만다행이다. 그분의 작품들은 십대 시절 나의 감수성과 정서를 모조리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여전히 그러하다.
<레옹>은 분명 재미있고 감동적인 작품이지만, 그게 다다. 상업영화로서 그만한 성취도 대단한 것이긴 하다. 그래도 그 영화는 결국 그 정도다. 그러나 고우영 선생님의 작품들은 나에게 만화란 무엇인가를 넘어서서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야기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려주었다. 당연히 재미있고 감동적이다. 십대 시절의 나는 참을성이 좋지 않았다. 내가 다 읽어낸 책은 손에 꼽았고, 그런 방정맞은 독서법을 가진 나에게 재독, 삼독을 하게 만든 책이 고우영 선생님의 작품들이다. 그 작품들을 수없이 읽어내면서 나는 예술가가 자신이 창조한 세계와 인물을 자기 마음껏 주무르는 경악스러운 광경을 끊임없이 목격하며 자라왔다. 정말 천만다행이었다.
창작을 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고우영 선생님이 정답은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서만큼은 그분의 방법과 깊이는 절대적이다. 아마 나는 평생 고우영 선생님을 모방하며 살아갈 것 같다.
'내가 요즘 왜 이렇게 글을 많이 읽고 써댈까'에 대해 생각을 하다가 마구 적어내려가는 이 글은, 고우영 선생님에 대한 본격적인 글이 아니다. 그냥 손 가는 대로 쓰는 것일 뿐, 그분의 대표작인 <일지매>, <삼국지>, <초한지>, <수호지> 등등에 대해 언급하려면 아직 이 정도의 분량은 하고 싶은 이야기의 반의 반도 못 담아낸 것이다.
고우영 선생님 외에도 윤태호, 박시백, 박흥용, 이노우에 타케히코 같은 만화가들이 나에게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에선가 걸작을 구상하거나 만들고 있을 전 세계의 수많은 영화감독들 역시 그러하고, 김훈이나 황석영 같은 문필가들 또한 나를 길러주고 있다. 하지만 왜 그런 거 있지 않은가, 나의 인생과 시야를 바꾼 단 한 명의 예술가. 그 사람은 근 십여 년간 나에게 예술을 가르쳐왔고, 지금은 돌아가셨기 때문에 죽어서라도 반드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고우영 선생님이다. 나는 아직도 고우영 선생님의 작품들을 넘어서는 그 어떤 창작물을 경험한 적이 없다.
그러니까 이 글은,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것이 영화인 줄 알았더니 사실은 고우영 선생님었다는, 앞선 단락과는 주제가 맞지 않는 이상한 글이다. 그럼에도 나는 영화감독이 하고 싶지, 만화가를 하고 싶지는 않다. 그래서 영화 역시 고우영 선생님 못지 않은 하나의 축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다소 텐션이 올라가 있는 글을 썼다. 나중에 반드시 나의 시간과 능력을 내어서 고우영 선생님과 그분의 작품들을 소개해드리겠다. 그때에는 지금보다는 좀 더 차분하게 쓸 수 있었음 좋겠다.
'나의 글 > 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철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의 업業 (0) | 2015.08.29 |
|---|---|
| 똥 이야기 (0) | 2015.05.31 |
| 돈 내고 즐기는 즐거움에 대하여 (0) | 2015.04.20 |
| 손님 이야기_2 (0) | 2015.04.18 |
| 손님 이야기_1 (0) | 2015.03.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