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자크 루소의 <에밀>을 얼마 전에 다 읽었다. 흥미롭지만 팍팍 읽어 나가기엔 힘든 책이었다. 철학자 칸트는 시계처럼 살기로 유명했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산책을 하는 그를 보며 동네 사람들이 시간을 알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그런데 그 칸트가 딱 하루 산책을 빼먹은 날이 있는데, 그가 <에밀>을 보던 날이었다. 어찌나 책을 열중해서 읽었던지, 산책 시간도 잊어버렸고 동네 사람들도 그날은 시간을 종잡을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진다. 그러한 <에밀>이건만, 이 책을 다 읽는 데 소요된 시간은 6개월. 성경 이후로 가장 긴 시간을 할애한 책이었다.

내가 읽은 판본은 '올재 클래식스'의 박은수 선생의 역본. 사색의 전통 위에 빛나게 서 있는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던 것은 군 생활의 가장 큰 보람 중 하나라고 감히 말할 수 있으리라. 책에 대한 나의 비루한 설명을 늘어놓기 보다는, 이 책에서 발췌한 빼어난 몇몇 부분을 옮겨 적음으로써 할 말을 아끼려 한다.


(페이지 수는 올재 클래식스에서 2013년에 펴낸 판본의 것임.)

"아이를 유식하게 만들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학문을 가르치는 것이 문제가 아니다. 학문을 사랑하는 취미를 붙여 주고 그 취미가 더욱 발달되었을 때 학문을 배우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문제다. 이것이야말로 틀림없이 모든 좋은 교육의 근본 원칙이다." p. 230

"잘못을 저지를 때 얼굴을 붉혀야지, 잘못을 고칠 땐 그럴 필요가 없네." p.443

"기쁨은 얻고 싶어하면 얻어지는 것이다. 만사를 까다롭게 만들어, 우리 앞에서 행복을 밀어내는 것은 억측뿐이며, 행복해지기란 행복한 체하기 보다는 백 배나 더 쉬운 일이다. 안목이 있어 진짜 쾌락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재산이 소용이 없다. 자유로워 자신의 지배자가 되기만 하면 된다. 건강을 누리고 의식에 궁하지 않은 자라면, 억측에서 오는 행복을 자기 마음에서 뽑아내기만 하면 다 충분한 부자이다." p.508

"사랑에서는 독차지되지 않는 호의는 하나의 모욕이다. 민감한 남자라면 딴 사람 모두와 함께 애무를 받기 보다는 자기 혼자서 구박 받는 것이 백 배나 더 나을 것이며, 그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고약한 일은 특별대우를 받지 않는 일이다." p.550

'리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령을 아는 지식, 제임스 패커  (0) 2015.12.22
죄와 벌, 표도르 도스또예프스끼  (0) 2015.12.21
검은 꽃, 부천시민 독서경진대회  (0) 2015.10.18
'무엇'이 되기 위해 살지 마라  (0) 2015.04.04
문명과 수학  (0) 2015.03.28
Posted by MarlonPai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