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학이學而편에 나오는 말씀 중에, "不, 也."라는 게 있다. 해석하면, 다른사람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너가 다른 사람을 못 알아볼까 걱정하라, 는 말씀이다. 이제는 나도 어쩔 수 없이 인정받지 못함에 대한 걱정을 달고 산다. 자족하는 삶이란 책에서나 존재하는 것만 같다. 내가 다른 사람 알아보는 것을, 다른 사람이 나를 알아봐주는 것보다 더 걱정할 수 있을까.


하지만 생각해 보자. 주머니 속의 송곳은 자신이 드러나지 못할까 걱정하지 않는다. 내가 아직 바늘이라면, 다른 사람이 알아봐 줄래야 알아보기가 힘들 것이다. 바늘에 머무르지 말고 송곳이 되면 다른 사람의 인정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니까 정말로 걱정해야 할 것은, 내가 다른 사람을 알아볼 수 있느냐뿐이다. 그러고 보니 확실히 그게 더 어려울 것 같다.

'나의 글 > 짧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국과 이슬람과 이매진  (0) 2015.11.20
반쪽  (0) 2015.10.06
글쓰기의 어려움  (0) 2015.05.02
스물여섯  (0) 2015.04.18
지난 글  (0) 2015.03.15
Posted by MarlonPaik
,

2015년 여름, 서해에 빠뜨리고 만 나의 동그란 안경(일명 존 레넌 안경)은 꽤 특징적인 모양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종종 사람들의 시선을 끌곤 했다. 개화기 지식인들이 꼈을 법한 디자인 덕에, 나의 전공인 철학과 그 안경이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었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이야, 안경 특이하네. 전공이 뭐세요? 철학과? 역시... 그래서 그런 안경 끼는 거예요?


아니. 그래서 그런 안경을 꼈던 것은 아니다. 난 그저 존 레넌처럼 되고 싶었을 뿐이다. 내가 경영학을, 실용음악을, 공학을, 연극영화학을 전공했다 한들 나는 그 안경을 꼈을 것이다. 그렇지만 어쨌든 나는 철학을 공부했고,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스물한 살 이후로 그 안경에 대한 질문과 함께 나는 이 질문도 정말 숱하게 들어야만 했다; 삶이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혹은 이 상황(또는 물건)을 철학적으로 설명해 본다면?


아, 정말이지 이런 질문들은 난처하다. 나는 철학도哲學徒, 그것도 학부 공부 3, 4년 한 게 고작인 사람일 뿐이다. 철학을 공부한다고 해서 누구나 철학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나 역시, 한갓 철학을 공부한 사람에 지나지 않아서 언제나 인생의 오의奧義를 생각하며 살지 않는다. 그런 나에게 삶에 대한 질문은 언제나 버겁다.


한 번은 이런 적이 있었다. 내가 공수교육을 받을 때의 일인데, 지상교육이 끝나고 모형탑에서 교육을 받을 때였다. 11미터의 모형탑에서 이탈을 하는 것은 상당히 긴장되는 일이기 때문에 교육생들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교관들이 말을 걸어주기도 한다. 나 역시 뛸 생각에 얼굴이 사색이 되어 있었는데, 한 교관이 말을 걸었다.

-자네는 안경이 참 특이하구만 그래. 밖에서 뭘 하다 왔나. 뭐? 철학? 그래. 그럼 자네가 모형탑에서 뛰어내린 다음에 다시 여기로 올라올 때까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고 30초 동안 말할 수 있게 준비해 오도록.

지금 여기서 뛰어내리고 교육 받는 것도 벅찬데 삶에 대한 정의라... 그 정신 없는 와중에도 나는 삶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했다. 마침 그때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와 칸트의 윤리학에 대한 책을 읽고 있었기 때문에 그 내용을 갖고서 준비를 했다. 마침내 모형탑에 올라가 그 교관 앞에 다시 서게 된 나. 행복의 추구와 인간성의 관계에서부터 칸트의 유명한 '네 의지의 격률이 보편적 입법원리로 타당한가 살펴보라'까지 설파하기에 이른다. 나는 또 어김없이 아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말했다.


일본어를 전공한 사람한테는 일본어로 말해봐, 미대생한테는 그림 그려봐, 노래를 전공한 사람한테는 노래해봐, 이러는 사람은 어딜 가나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잘 하기 때문에 전공 삼는 것이 아니라 잘 하기 위하여 전공 삼는 것이다. 물론 해당하는 전공을 갖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소양은 있어야 할 테지만, 그렇다고 해서 주크박스처럼 버튼을 누르면 바로 좔좔좔 쏟아낼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라는 게 어디 쉽게 얻어지는 것인가. 비非전공자인 여러분 보다야는 잘 하겠지만 말이다.


그래도 한 편으로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철학도에게 철학에서 말하는 삶이 무엇인지 한 번쯤은 듣고 싶어하는 그네들의 마음이 이해가 되기도 한다. 또 어쩌면 철학을 전공하는 모든 이에게는 아주 조금씩이라도 삶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세상에 공급해야 하는 업業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철학의 쓸모는 아무래도 사람들의, 기왕이면 많은 사람들의 머리에 남을 수록 보장되는 것일 테니까.

'나의 글 > 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가네  (0) 2017.05.31
똥 이야기 2  (0) 2015.11.20
똥 이야기  (0) 2015.05.31
돈 내고 즐기는 즐거움에 대하여  (0) 2015.04.20
손님 이야기_2  (0) 2015.04.18
Posted by MarlonPaik
,

-학생, 잠깐 볼까요.

 주인 아주머니다. 그녀가 나를 부르는 순간, 가슴이 싸늘해진다. 학교 다닐 때 가장 무서운 선생님이 나를 호출했을 때도 이렇게 저항감이 생기진 않았었는데.

 -이번 달 전기세가 나왔어요. 근데 세상에, 내가 저번에 불 켜놓고 잔 걸로 한마디 했었죠? 아무리 공과금을 안 내더라도 그러면 안 되죠. 아니, 공과금을 안 내니까 더 신경 써야 하지 않겠어요? 요즘 아무리 날씨가 덥다지만 에어컨을 그래 틀어놓고 살면 이 전기세는 누가 내라고, 아이고 참 나...

 -죄송합니다. 그렇게 많이 나올 줄은 몰랐어요.

 -죄송한 게 문제가 아니라, 번번이 이런 얘기하는 것도 지치네요. 학생이 자꾸 이렇게 나오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가 없어요. 뭐... 방을 뺀다든가 해야겠죠.

 

아, 30년 전 서울 삼촌 댁에 얹혀살았다던 아버지의 마음이 이런 것이었을까. 혹은 그 옛날 조선 땅을 잃은 우리네 선조들의 마음이 이런 것이었을까. 내 땅, 내 집, 넓진 않아도, 손바닥만 해도 간섭과 눈치로부터 자유로운 나만의 공간이 이렇게 소중한 거였구나. 처음에 빈대떡이나 사과 몇 알 건네주시던 모습에 긴장을 풀지 말았어야 했던 건가. 요즘 주인 아주머니의 등쌀이 전에 없이 견디기 어렵다. 사실 그렇게 대단한 고생거리는 아닌데 이 서러움에 왜 이리 울컥하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이 집을, 아니 정확히 말해서 이 방을 나오련다. 안락하고 목 좋은 곳이었지만 좀 더 불편하더라도 자유롭게 살리라. 전기세 내가 내더라도 에어컨과 불은 마음껏 틀며 살리라. 전개가 다소 빠른가? 괜찮다. 나는 어차피 이 집(방)에서 언젠가는 나올 거였으니까, 생각보다 좀 더 일찍 나오게 된 것뿐이라 생각하시길.

 

아르바이트를 마치고 인터넷에 올라온 방을 보러 갔다. 그럴 리는 없겠지만, 맘에 드는 방을 한 번에 찾고 싶다. 그것도 마음에 아주 쏙 드는. 물론 방이라는 물건이 무슨 운동화도 아니고, 그렇게 적절한 것을 손쉽게 구하기는 어려울 테다. 아무렴 어때. 바람에 돈이 들고 법적 절차가 있나. 그냥 그랬으면 좋겠다는 거지.

 

그 방이 있는 주택가에 들어서니 웬 비둘기 한 마리가 보인다.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도시적인 비둘기다. 지저분하고 태평하다. 녀석은 마치 무언가를 비유하는 것처럼 내 앞에 있다. 자세히 보니 보통의 비둘기에게선 보기 힘든 무늬가 목에 있다. 더 자세히 보니 그것은 무늬가 아니었다. 목에 가로로 난 상처다. 깃털도 빠져 있고 조금이지만 핏자국도 있다. 고양이 같은 것에게 당하기라도 한 걸까. 하지만 나는 지금 방을 보러가야 한다. 설령 저 비둘기가 한때 인기 많았던 시트콤에서처럼 후라이드 치킨으로 오늘 저녁 튀겨진대도 나는 좋은 방을 찾아야 한다. 안녕, 비둘기야. 만나서 반가웠어. 그래도 넌 좋겠다. 치킨은 언제나 옳다던데 너는 오늘밤 언제나 옳은 존재가 될지도 모르겠구나. 그래서 치느님이라고 하는가봐. 가만 있어봐, 비둘기를 치킨으로 튀기면 치킨이라고 부를 수 없는 거 아닌가? 나도 참, 한가한 생각이나 하고 앉아 있구나. 그나저나 비둘기는 어디서 잠을 자는 걸까. 비둘기는 어디에서 잘지 궁금해 하며 방에 들어갔다.

 

연락을 주고받은 대로 방문은 열려 있었고 주인으로 보이는 아저씨가 있었다. 방은 생각보다 넓고 깨끗했다. 이전 집과는 달리 화장실에 창문도 달려 있고, 에어컨을 틀지 않았는데도 묘하게 서늘한 게 특히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이곳엔 바퀴벌레가 많았다. 너무 많았다. 벽에 있는 장롱을 열었을 때 적갈색의 납작하고 사악하게 생긴 물체가 빠르게 장롱 밖으로 나와 천장과 장롱 사이의 암흑 속으로 사사삭- 몸을 숨겼다. 그것들은 언제나 사사삭- 움직인다. 내 뒤에 있던 아저씨에게 항의하는 눈빛을 보냈지만 그의 얼굴엔 조금의 당황한 기색도 없었다. 천진한 표정으로 무슨 일이냐 물어보기까지 하니 오히려 내가 더 무안한 마음이 생겨 방을 더 둘러보았다. 장롱 옆에 있는 침대에 털썩 앉으니 이번엔 침대 밑에 있던 아까 그 적갈색 물체의 가족처럼 보이는 녀석들이 저 장롱 밑으로 달아나는 것이었다. 나는 너무 놀라 소리를 질렀지만 아저씨는 이번에도 시치미를 떼는 건지 나에게 무슨 일이냐며 묻는 것이다. 이 집에 바퀴벌레가 많은 것 같다, 고 하니, 아저씨는 예에- 없지 않아 있죠, 라는 것이다. 없지 않아 있다니, 이게 무슨 말이야. 이 아저씨는 무섭도록 뻔뻔하거나 바퀴벌레를 무슨 영수증이나 빈 페트병 보듯이 하는 사람인가 싶었다. 아무래도 상관없다. 나는 노숙을 하면 했지 바퀴벌레와는 죽어도 같이 못 지낸다. 방 잘 봤다고 아저씨께 말씀을 드리고 다른 방도 보러 갈 텐데 이 방이 제일 마음에 들면 연락드리겠다고, 혹시 연락이 늦더라도 기다리시지 말라고 한 후에 다음 방을 보러 갔다.

 

다음 방은 다 좋은데(주인에게 티가 나지 않도록 구석구석 샅샅이 살펴보았으나 바퀴벌레는 없었다.) 너무 외진 곳에 있었고, 그 다음 방은 튀어나온 바퀴벌레에 주인과 함께 소리 지르며 달아났다. 만일 잡아서 요리를 한다면 식사 한 끼는 든든히 해결할 수 있을 만큼 어마어마한 놈이었다. 이후로 보러 다닌 방들도 이 이유로, 저 이유로 실망을 주어 결국에는 소득 없이 지금 살고 있는 방으로 돌아왔다.

 

집 앞에 보니 처음 보러 간 방 앞에 있던 비둘기가 있었다. 목의 상처는 조금 나은 듯싶지만 여전히 뚜렷하여 한 눈에 알아보았다. 녀석은 내가 제멋대로 치킨(?)으로 만든 그 비둘기였다. 너는 도대체 이 더운 날 그 더운 옷을 입고 어디서 자는 거니. 혹시 비둘기는 잠을 자지 않는 게 아닐까. 생각해보니 비둘기가 잔다는 얘기도, 자는 모습도 듣거나 본 적이 없다. 아하, 비둘기는 잠을 자지 않는 게로구나. 물론 그럴 리는 없다. 내가 하도 낙심을 하다 보니 별 이상한 생각을 다 하는가보다. 비둘기가 잠을 잔다는 사실보단 잠을 자지 않는 동물이 있다는 게 더 신비로우며 지식으로 보급될 것이다. 나는 아직 잠을 자지 않는 동물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지만 말이다. 비둘기든 공작이든 참새든 다 잠을 자기 때문에 구태여 '비둘기는 참 잘 자는 동물이란다'하고 말해주는 사람이 없는 것뿐이다. 그래, 내가 너무 지쳤나봐. 오늘은 일단 자야지. 그나저나 비둘기는 어디서 잠을 자는 걸까.

'나의 글 > 픽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5.11.02
Posted by MarlonPai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