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한계를 인식하는 순간이 온다면 제대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살면서 한계를 경험한 적이 없다는 것은 한계에 도달할 만큼 노력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계를 맞닥뜨리는 것은 내 좁은 테두리를 넓힐 기회를 쥐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니 한계 앞에 설 때마다 나는 아프도록 기쁠 뿐이다."
위서현, <뜨거운 위로 한 그릇> 중에서
올 한 해, 작년보다 더욱 많은 한계에 부딪히기를.
"살면서 한계를 인식하는 순간이 온다면 제대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살면서 한계를 경험한 적이 없다는 것은 한계에 도달할 만큼 노력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계를 맞닥뜨리는 것은 내 좁은 테두리를 넓힐 기회를 쥐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니 한계 앞에 설 때마다 나는 아프도록 기쁠 뿐이다."
위서현, <뜨거운 위로 한 그릇> 중에서
올 한 해, 작년보다 더욱 많은 한계에 부딪히기를.
2001년의 어느날, TV에서 영화 <매트릭스>를 방영해줬다. 방송국은 아마도 SBS.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나조차도 <매트릭스>는 알고 있었다.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온갖 패러디가 인터넷에 범람하기 시작했는데, '니들이 게맛을 알어?', '아햏햏', '오인용' 같은 패러디물을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그중 <매트릭스>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패러디의 단골소재였기 때문에, 나는 이 영화를 보기 전부터 그 존재를 알수 있었다.
영화를 본 사람은 엄마와 나, 그리고 동생이었다. 워낙에 영화를 좋아하는 엄마와 우리 형제는 곧잘 함께 영화를 보곤 했다. 동시대에서 몇 차원 앞선 컴퓨터그래픽과 초등학생이 받아들이기엔 충격적인 설정에 압도되어 영화를 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장면은 이제 모피어스가 네오에게 매트릭스 세계의 배경을 설명해주는 부분이 되었다. 기계에 정복당해 꿈도 희망도 없이 살아가는 인류의 그 참담함이란... 이제 열 살 갓 넘은 꼬마의 가슴을 얼마나 섬짓하게 했을지 여러분은 상상이나 가시는가.
그때 동생이 갑자기 컴퓨터가 있는 방으로 뛰어들어가더니 곧이어 와지끈, 하는 소리가 들렸다. 놀란 엄마와 내가 방에 가 보니, 동생이 컴퓨터를 부수려 드는 게 아닌가. 그것도 눈물을 철철 흘리면서, 비장한 표정으로. 동생을 제지시키고 왜 그랬냐고 물으니 아직도 눈물을 멈출 수 없는 동생이 말하길,
-이 기계녀석들이 우리를 정복할 거야! 기계들을 모두 부숴버려야 해...
라는 거였다. 그렇다. 매트릭스의 암울한 비전에 감화된 내 동생은, 기계문명이 초래할 재앙을 막고자 했던 것이다. 영화를 보며 심각한 기분에 젖어 있었던 엄마와 나는 배를 잡고 웃었고, 터미네이터 시리즈의 존 코너 뺨치는 용단을 보여준 내 동생은 이렇게 또 하나의 전설을 기록했다.
그렇게 순수했던 내 동생도 이제는 때가 많이 묻었을 게다. 컴퓨터를 결딴내려던 그 꼬마가 이제는 컴퓨터를 활용하는 작업에 도사가 다 되었다. 어딜 가나 그 무거운 노트북과 태블릿을 이고 다닌다. 기계문명의 대항마가 완전히 투항해버린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내 동생은 천진하고 순진한 축에 든다고 자신한다. 근데 이게 뭐라고 자신이라는 표현까지 쓰는지 모르겠다.
| 군 생활, 피식했던 순간들 1 (0) | 2015.12.25 |
|---|---|
| 바보와 사기꾼 (0) | 2015.12.20 |
| 천국과 이슬람과 이매진 (0) | 2015.11.20 |
| 반쪽 (0) | 2015.10.06 |
| 바늘의 걱정 (0) | 2015.08.30 |
1. 운전중이었다. 뒤에 타고 계신 한 간부님께서 말씀을 하시는데...
-미군하고 합동 훈련할 때, 거기 흑인 부사관 이름이 올리버였거든. 아 근데 막상 그 친구 이름을 부르려니 이름이 생각이 안 나는 거라. 근데 불러야 하긴 하겠고, 급한 대로 이름을 불렀는데 '헤이, 걸리버!'라고 해버렸네.
졸지에 여행기의 주인공이 되어버린 미군 아저씨였다.
2. 뉴스를 보는데 대리모와 정자은행에 대한 기사가 나왔다. 이 윤리적인 주제에 대해 관심이 동한 우리 분대원들이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정자은행을 말하고 싶었던 모 선임 왈,
-근데 정액은행이 말이야...
더러워! 도대체 누가 그딴 걸 맡기냐고!
3. 전투식량 중에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 타입이 있다. 일명 쇠밥. 구성은 건조된 밥, 짭짤한 분말스프, 참기름, 국(분말스프 타입) 등등이다. 여기에 후식으로 까만색의 초코볼도 있어서, 부피에 비해서는 나름 구색이 갖춰진 한 끼를 먹을 수 있게 돼있다. 별칭이 쇠밥인 이유는 건조된 밥이 복원이 제대로 안 되면 쇠처럼 딱딱하다 하여 쇠밥이다.
때는 훈련 중 식사시간. 한 간부님의 쇠밥을 한 병사가 만들어 드렸다. 조리법대로 스프와 참기름, 뜨거운 물을 부어 넣고 간부님께 드린 병사. 밥이 다 복원되어 슥슥 비벼서 맛있게 먹는 간부님, 근데 왠지 밥맛이 묘하게 달콤하다. 알고 보니 병사가 쇠밥에 초코볼을 넣은 게 아닌가! 간부님께서 병사에게 묻는다.
-얘야, 여기에 초코볼을 왜 넣은 거니?
-초코볼이 아니라 콩인 줄 알았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렇구나... 그럼 니 거에도 초코볼을 넣었니?
-아닙니다...
-왜 니 거에는 안 넣었는데?!
-저는 콩 싫어합니다.
4. 훈련소 분대장(조교) 두 명이 어느날 우리 훈련병들에게 오더니 둘 중에 누가 더 잘생겼냐고 물었다. 그들의 표현대로라면 한 명은 벽돌처럼 생겼고, 한 명은 마약상처럼 생겼다. 힘없는 훈련병들이 뭐라 말할 수 있었겠나. 그저 어려운 웃음만 지으며 대답을 회피하는 훈련병들. 그러다 두 분대장 중 마약상이 자리를 비웠다. 곧바로 남은 한 명이 혼잣말 같지 않은 혼잣말로,
-어휴, 저 븅신새끼! 같이 좀 놀아주니까 진짜 자기가 나하고 어떻게 해볼 수 있는 줄 아나보네.
하며 씩씩대는 게 아닌가. 우리는 그의 상기된 얼굴에 당황했는데, 첫째로는 벽돌 분대장이 그런 일로 그토록 성을 낸 것과, 둘째로는 우리 모두 다시 태어난다면 벽돌로 태어나느니 마약상으로 태어나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직 본인만이, 진심으로 본인의 우월함을 믿고 있었던 벽돌 분대장이었다. 우리는 그의 자기애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